IT 지식

패킷트레이서 라우터, 스위치 공통 명령어

밀짚토끼 2021. 4. 3. 23:06

이번 시간에는 라우터 공통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라우터 초기 화면이죠.

여기에서 NO를 입력합니다.그러면 > 모양이 나오는데enable을 누르면 #버튼으로 넘어갑니다.(관리자 모드)여기에서는 설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ping도 가능하죠. 저장, 삭제도 가능합니다.packet트레이서는 실제 라우터랑 조금은 다릅니다. 안 되는 명령어도 있죠. 그래서 packet트레이서로 전체 내용을 확인할 때는 show run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주면전체적인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한번 확인해 보죠.

이것은 show running-config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중간 정도의 설정 내용입니다.아무런 명령어도 넣지 않았을 때에 설정 내용입니다. show run이라는 명령어는 #에서 쳐야 됩니다. 그러면 설정을 직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configure terminal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직접 설정이 가능합니다.이 명령어를 치면 (config)라고 변경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제가 interface gig0/0의 인터페이스를 켜보겠습니다.한번 보시죠.

gig0/0이 초록불이 되신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통신이 될까요?아닙니다. ip까지 넣어야 통신이 됩니다. 라우터에 interface gig0/0에 ip를 설정한다면A라는 라우터는 int gig0/0의 네트워크를 알기 때문에 바로 통신이 됩니다.한번 해보겠습니다.(아니 그래서 설정은 어떻게 하냐고요? 지금 보여드리겠습니다.)생각대로 라면 라우터에 192.168.20.1이라는 ip를 넣으면 pc와 통신이 돼야 됩니다.pc0에는 192.168.20.2라는 ip를 넣고, 라우터 인터페이스에는 192.168.20.1이라는 ip를 넣겠습니다.

pc0에 설정 화면

A라는 라우터의 설정화면 ip를 넣었습니다.(위에 뭐 Duplicate 어쩌구 저쩌구는 pc0과 ip가 겹치기 때문에 라우터가 알려주는 겁니다. 보여줄라고 일부로 저렇게 했습니다. 실수 아닙니다.)통신이 되는지 확인을 하려면 ping 192.168.20.2에다 핑을 보내면 되겠죠?pc에다 핑을 보내야 되니까요.

!!!!!=> 핑을 5번 보냈는데 5번 다 됨=> 정상.!!!!=> 처음에는 안 됐지만 됨=> 정상.....=>5번 보냈지만 5번 다 안 됨=> 초기 설정이거나 문제가 있음.!.!.!=> 루핑이 돌음=> 문제가 조금 심각함... !!!!! 이니까 잘 되네요.Default gateway를 안 넣어도 통신이 되네요.저도 오늘 배우네요. default gateway를 안 넣어도 통신이 되네요. (아마 default gateway라는 것이 Pc 또는 Switch가 다른 네트워크로 통신이 하고 싶을 때pc는 모르기 때문에 무조건 default gateway로 보내게 됩니다.그런데 pc랑 라우터랑 같은 네트워크기 때문에 통신이 되는 것 같네요.) 자 그러면 만약에 다른 네트워크에 ping을 보냈는데 안됩니다.그런데 원인이 대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그러면 어떻게 하죠? 보통은 설정한 라우터에서 show run이라는 명령어를 치고, 설정한 것 중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내죠.(네트워크 규모가 조금 크면 설정을 한 라우터에다 show run을 쳐야 하죠.)그것도 있지만 좋은 방법 2가지 있습니다. 1.traceroutetraceroute는 처음 네트워크를 배우시는 분들은 생소할 것 같습니다.해석하면 경로 추적이죠.제가 192.168.20.2에서 192.168.10.2로 통신을 하고 싶습니다.A의 라우터가 192.168.20.2이고, pc1이 192.168.10.1이죠.한번 해보죠.설정을 보여드리기 위해 rip을 사용하겠습니다. rip 설정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저거 보여드릴라고 꽤 오래 걸렸네요.이유는 version 1로 해서 라우터가 network를 자동 생략했네요...) 먼저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저 그림을 보시면 1 10.10.10.2 ... ... ... 이렇게 돼있죠.... ... ...은 통신 시간입니다. 생략하겠습니다. 1번째 경로를 추적하면 A의 라우터에는 192.168.20.2의 포트와 10.10.10.2의 포트가 있습니다. 192.168.20.2=>10.10.10.2로 가는 거죠.패킷이 B까지 도착했습니다. 2번째 경로를 추적하면 20.20.20.2까지 왔다고 하네요.10.10.10.2=>20.20.20.2로 갔다는 말이죠.(traceroute는 네트워크가 달라질 때마다 알려줍니다!!!) 3번째 경로를 추적하면 192.168.10.2목적지에 도착을 했으니까 끝나는 게 보입니다.C에는 20.20.20.2라는 IP가 있으니까 목적지 192.168.10.2라는 것이 자기 라우터에 있으므로 보내면 끝이 납니다.2번째는 debug와 라우터 show의 종류인데이 방법은 다음에 알려드리겠습니다.(정보기기운용기능사에서 나오는 수준이 아닌 것 같네요.) 라우터와 스위치를 따로 다르게 해서 알려드릴라 했는데 다 공통부분이네요..ㅎㅎ참고하시고, 문제가 생겼을 때 많이 유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