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제 3차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도메인이란? 이 대역이 크면 좋을까?
지난 시간에는 Collision domain에 대해 스위치와 허브를 비교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Broadca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roadcast라는 말을 아마 가끔 들어볼 실 수 있을 실 겁니다.
방송이라는 뜻인데 이것이 네트워크에서는 어떻게 활용이 되는지
결론적으로 말하면 라우터나 스위치가 이 패킷이 어디로 가야할 지 모를 때 방송을 합니다.
즉, broadcast packet을 보낸다는 거죠.
스위치로 한 번 예를 들어보면
스위치에 Flooding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자기가 학습한 Mac-address 테이블에 없는 목적지 패킷이 왔을 때
2.Multicast address
3.Broadcast
입니다.
이러한 패킷이 오면 스위치는 수신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에 방송을 하는데
이러한 것을 Flooding이라 합니다.
arp를 할 때에도 스위치에 Mac-address 테이블에 없다면
방송으로 이 Mac-address를 가진 pc는 응답해줘라고 방송을 하죠.
그리고 이 Broadcast 패킷이 많아지면 Collsion domain과 같이
쓸데없는 Cpu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이 대역은 줄이면 좋습니다.
이 Broadcast domain 대역을 줄이는 방법은
총 2가지정도 있습니다.(더 있는데 저는 솔직히 다른 기술은 자세히 모릅니다.ㅎㅎ )
1.VLAN을 사용한다.
2, 서브 넷팅을 한다.
우리가 VLAN을 사용하면 하는 이유 중 하나는
보안+ Broadcast domain을 줄이기 위해서 많이 사용을 합니다.
192.168.10.0/24의 사용자가 수가 40명이라면
vlan 10에 20명, vlan 20에 20명으로 software적인 설정을 마치면
broadcast domain이 줄어듭니다
즉, 라우터없이는 통신이 안 됩니다.
2. 서브 넷팅을 한다.
/24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host수가 40명이라 치면
128명 중에 40명밖에 없으니 나머지 66명? 은 비워있어서 비효율적이고,
40은 계속 broadcast를 받으므로 cpu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것을 /26으로 나눕니다.
30명 정도 쓸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30명은 192.168.10.0/26에 넣어주고,
나머지 10명은 192.168.10.64/26에 넣어주면
브로트 캐스트 영역은 줄어듭니다.
역시 서로 다른 서브넷에서는 라우터 없이는 통신 안됩니다.
(나중에 추후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서 안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이 점을 제외하고 하겠습니다.)
ccna시험에서는 broadcast domain을 구하거나 Collsion domain 수를 구하는 문제가 나올 수 도 있습니다.
이 문제를 구하는 tip을 알려드리자면
라우터 없이 L2 스위치로 통신이 된다면 그 네트워크가 범위가 broadcast domain입니다.
즉 1개 network= 1개의 broadcast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핵심)
저 그림을 보십시오.
몇개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있습니까
브로트 캐스트 도메인= 네트워크 개수라고 했습니다
192.168.10.0/24
10.10.10.0/24
20.20.20.0/24
30.30.30.0/24
192.168.20.0/24
이므로 5개입니다.
정답:5개
라고 볼 수 있겠네요.
자 이렇게 broadcast domain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