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트레이서 ospf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스코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한 OSPF설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ospf란?
link-state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로 현재 링크 중에서 가장 빠른 경로를 채택(SPF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지도를 만듭니다.(LSDB)
OSPF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용어
1.LSDB(Link State DataBase)=> ospf가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즉, 지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LSA(Link State Advertise)=> ospf끼리 네트워크 정보를 광고하는 데 사용합니다.
3.DR(Designated Router) => ospf중에 대장입니다. 나머지 라우터(BotherRouter)는 DR라우터로만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합니다.
시스코 패킷트레이서로 OSPF를 설정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network 명령어를 이용하여 OSPF설정
2.IP ospf [number] area [number]
이렇게 2가지가 있는데 우리가 사용할 방법은 1번입니다.
먼저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Router0에 대한 설정
Router(config)#int se0/1/1
Router(config-if)#ip add 10.10.1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Router(config-if)#ex
Router(config)#int fa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10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Router(config-if)#
Router(config-if)#router ospf 1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0.10.10.0 0.0.0.255 a 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0.0 0.0.0.255 a 0
Router(config-router)#pas
Router(config-router)#passive-interface fa0/0
Router(config-router)#ex
Router(config)#
network=>Router0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알려줍니다.
Passive interface=>네트워크를 정보를 상대에게 알려는 주지만 해당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정보를 받지 않습니다.
router1에 대한 설정
Router(config)#int se0/1/1
Router(config-if)#ip add 10.10.10.2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Router(config-if)#ex
Router(config)#int fa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1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h
Router(config)#
Router(config)#int fa0/0
Router(config-if)#no sh
Router(config-if)#ex
Router(config)#router ospf 1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0.0.0.255 a 0
Router(config-router)#network 10.10.10.0 0.0.0.255 a 0
Router(config-router)#ex
Router(config)#
00:20:31: %OSPF-5-ADJCHG: Process 100, Nbr 192.168.100.1 on Serial0/1/1 from LOADING to FULL, Loading Done
빨간색 문구가 뜨면 해당 라우터와 neighbor관계가 맺어진 것이라고 봐도 되겠습니다.
그러면 설정된 것을 확인해봐야겠죠?
이번에는 show ip route라는 명령어를 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명령어는 Router1에 쳤습니다.)
Router#show ip route
Codes: C - connected, S - static, I - IGRP, R - RIP, M - mobile, B - BGP
D - EIGRP, EX - EIGRP external, O - OSPF, IA - OSPF inter area
N1 - OSPF NSSA external type 1, N2 - OSPF NSSA external type 2
E1 - OSPF external type 1, E2 - OSPF external type 2, E - EGP
i - IS-IS, L1 - IS-IS level-1, L2 - IS-IS level-2, ia - IS-IS inter area
* - candidate default, U - per-user static route, o - ODR
P - periodic downloaded static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0/24 is subnetted, 1 subnets
C 10.10.10.0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1/1
C 192.168.10.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O 192.168.100.0/24 [110/65] via 10.10.10.1, 00:04:46, Serial0/1/1
C는 직접 연결된 라우터 인터페이스 말합니다.
O는 OSPF를 통해 알게된 네트워크 정보를 말합니다.
보시면 192.169.100.0는 10.10.10.1을 통해 가라고 입력이 되어있습니다.
실제로 pc0에서 pc1로 핑을 보내면
정상적으로 ping이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ospf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마치고,
다음번에는 interface를 이용하여 ospf를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